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IRP와 연금저축, 어떤 것을 먼저 시작해야 할까?

by cacasora 2025. 5. 15.

IRP

 

✅ 서론

노후 준비를 시작할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금융상품이 바로 IRP(개인형 퇴직연금)연금저축입니다. 두 상품은 모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, 55세 이후 연금 수령도 가능하지만, 구조와 활용법은 다릅니다.

이 글에서는 IRP와 연금저축의 차이점, 장단점, 어떤 것을 먼저 시작해야 할지 전략적으로 비교해 드립니다.

✅ 1. 기본 개념: IRP와 연금저축의 차이

  • IRP: 퇴직금 또는 본인 납입금 운용, 모든 직장인 가능
  • 연금저축: 본인 납입금만 운용, 직장인/자영업자 모두 가능

IRP는 퇴직금을 이관하거나 별도로 납입할 수 있고, 연금저축은 납입액만 운영됩니다.

✅ 2. 세액공제 혜택 비교

  • IRP + 연금저축 합산 연 최대 700만 원까지 공제
  • 총급여 5,500만 원 이하: 공제율 16.5%
  • 총급여 5,500만 원 초과: 공제율 13.2%

소득이 많지 않다면 세액공제율이 높은 연금저축부터 시작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
✅ 3. 수령 방식과 유연성

  • IRP: 중도 인출 제한, 퇴직연금 수령 가능
  • 연금저축: 상대적으로 유연, 자유납입 가능

단기간 유동성이 필요하거나, 수시로 납입을 조절하려면 연금저축이 더 실용적입니다.

✅ 마무리

IRP와 연금저축은 경쟁하는 상품이 아니라, 보완재입니다. 가장 효과적인 전략은 연금저축으로 시작 → IRP로 확장하는 구조입니다.

세액공제도 받고, 노후 자금도 준비하려면 지금부터라도 작은 금액으로 시작해보세요. 시간이 곧 자산입니다.